부부관계 평균횟수 어떻게 될까
- 카테고리 없음
- 2018. 12. 20. 00:24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부관계 평균횟수가 얼마나 될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부부 간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이 많겠습니다만 관계 횟수 역시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 한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어떤 분들은 궁합이 잘 맞아야 금슬이 좋다는 얘기를 하시기도 하구요.
아무래도 부부는 평생의 동반자, 반려자이기도 하지만 남자와 여자라는 이성간의 관계이기 때문에 성관계 역시 중요한 부분일 수 밖에 없는데요.
그렇다면 우리나라 부부들의 평균 관계횟수는 어떻게 될까요?
대한남성과학회의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부부관계평균횟수는 한 달 기준으로 30대가 6회, 40대는 5회, 50대 이상은 4회 내외라고 합니다. 20대는 평균 4회라고 하구요.
의외로 20대가 가장 낮은 횟수인 4회가 나왔는데, 아무래도 미혼인 20대 초반이 끼여있어서 가장 낮은 수치가 나온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아무래도 신혼 초반인 연령대인 30대에서 부부관계 평균횟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직까지 보수적이라는 인식이 많은 우리나라이기 떄문에, 혹시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관계횟수가 적은 편이 아닌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다른 나라 부부들의 평균 관계횟수를 알아보았습니다. 다른 나라 부부들의 평균 관계횟수는 어떻게 될까요?
2005년 듀렉스에서 조사한 결과가 있는데 이를 인용하였습니다.
그리스인들이 세계에서 가장 왕성한 성생활을 하고 있는 반면에 일본인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 사람들은 성생활에 가장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콘돔 제조회사인 듀렉스사가 8일 밝혔다.
듀렉스사가 41개 국가 31만7000명을 대상으로 자사의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실시한 성생활조사에 따르면 조사자들의 연간 평균 섹스 횟수는 103회로 1주일에 2번 정도 성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성관계를 갖는 국민은 그리스인으로 연간 138회에 달했고 2위는 크로아티아인으로 134회였으며 세르비아인과 몽골인이 128회로 각각 3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프랑스인 120회 영국인 118회 네덜란드인과 폴란드인 각각 115회 미국인 113회 호주인 108회 등이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일본인들은 연평균 45회의 섹스를 하는 데 그쳐 최하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세계인들의 평균 횟수의 절반도 안되는 것이다. 일본인들의 '섹스리스(SEXLESS) 라이프'가 조사에서도 입증된 셈.
일본인 외에 싱가포르인들의 연평균 섹스횟수도 73회로 꼴찌에서 두 번째였고 인도인 75회 인도네시아인 77회 홍콩인 78회 말레이시아인 83회 베트남인 87회 대만인 88회 중국인 96회 등 아시아 국가의 국민들이 하위 10위권 중 9개를 차지했다.
또 조사자들은 평균 9명의 섹스 파트너를 가져온 것으로 조사됐고 남성이 10.2명으로 여성(6.9명)보다 많았다. 특히 터키인들의 평균 섹스 파트너는 14.5명으로 가장 '자유분방한 성생활'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도인들은 3명으로 가장 '엄격한' 것으로 집계됐다.
가장 왕성한 그리스인들이 연간 138회이니, 거의 3일에 한 번 꼴로 성관계를 맺는다고 보면 되겠네요.
조사를 좀 더 해봐야 겠습니다만 대체적으로 아시아 문화권 사람들의 관계 횟수가 적은 것도 특징적으로 보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나라별 문화나 분위기가 관계 횟수에 영향을 주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한편 부부관계 횟수가 적다보면 자연히 우리 부부가 섹스리스 부부가 아닌지 고민이 될텐데요. 그래서 섹스리스의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한 번 알아봤습니다.
섹스리스의 기준은 어떻게 될까?
부부관계 평균횟수가 월 기준으로 1회 이하인 부부들을 섹스리스로 분류한다고 합니다. 부부관계 평균횟수가 지나치게 낮다면 아무래도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고 자칫하면 이혼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서로 간의 대화가 중요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부부관계 평균횟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나라 부부의 경우 한달기준으로 평균 4회~6회인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